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10월 무 재배 경영 정보

728x90

10월 무 재배 경영 정보

◇ 생산 동향 (자료: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23. 농업관측 8월호)

❍ 여름무 생산량 전년 대비 12.0% 증가

- 여름무 생산량: 24만 7천 톤

- 재배면적: 2,732ha (전년 대비 3.1% 증가)

· 전년도 가격 높아 재배면적 증가(늦은 추석(9.29.) 영향으로 6월 하순~7월 상순 파종 면적 증가)

- 단수: 9,034kg/10a (전년 대비 8.7% 증가, 평년 대비 0.7% 감소)

- 8월 출하 준 고랭지지역(평창 진부 등) 7월 잦은 비와 고온 영향으로 무름병 및 열근 발생

- 8~9월 출하 고랭지지역(평창 대관령 등) 7월 상순 돌풍 영향으로 뿌리돌림 피해 및 결주 발생, 최근 잦은 비와 고온 영향으로 세균성 검은무늬병(흑반병) 확산

◇ 출하 전망

❍ 8~9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

- 8월 출하량: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2.3%, 0.5% 증가

· 노지봄무 저장량 및 여름무 출하 면적 증가

- 9월 출하량: 전년 대비 14.9% 증가, 평년 대비 0.9% 감소

· 여름무 재배면적 늘어 전년 대비 출하량 증가

 

◇ 가격 동향

❍ 7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34.7% 하락

- 도매가격(상품): 12,310원/20kg(전년 18,841원/20kg)

· 노지봄무 생산량 및 저장 출하량 증가로 가격 하락

· 7월 노지봄무 주산지 잦은 비로 인해 출하여건이 악화되어 순별 가격은 상승

- 상순 9,650원 → 중순 12,310원 → 하순 14,680원/20kg

❍ 8월 도매가격 전년대비 27.4% 하락

- 8월 도매가격(상품): 16,000원/20kg(전년 22,021원/20kg)

· 노지봄무 저장량 및 여름무 출하 면적 증가

◇ 재배의향 면적

❍ 가을일반무 재배의향 면적

- 전년 대비 5.9% 감소, 평년 대비 1.0% 증가

· 최근 무 도매가격 높게 형성되어 전월 대비 재배의향 증가

- 가을무 주산지 7월 집중호우로 인한 유실 피해 심하여 향후 필지 정비 여부에 따라 재배의향 변동

· 지역별로 경기·강원·충청지역 3.0~4.9% 내외 감소, 최대 주산지 호남지역 8.2% 감소

- 호남지역 전년도에 상대적으로 가격 높았던 외대무 재배의향 증가

❍ 겨울무 재배 의향면적

- 겨울무 재배의향 면적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.8%, 9.5% 감소

· 전년도 한파 피해 영향으로 재배의향 감소

- 제주 동부지역(구좌) 전년도 가격 높았던 당근으로 일부 작목 전환

 

◇ 중장기 전망

❍ KREI-KASMO 모형 추정 결과, 무 재배면적은 2023년 2만 33ha에서 2032년 1만 8,978ha로 연평균 0.5% 감소할 전망임

- 식습관 변화와 김장 수요 감소, 겨울무 공급 과잉에 따른 산지면적 조절 등이 재배면적 감소 요인으로 판단됨

❍ 무 총공급량은 2023년 115만 2천 톤에서 2032년 109만 8천 톤으로 연평균 0.5% 감소할 전망임

- 무 생산성 향상에 따른 단수 변화는 크지 않으나 재배면적 감소 영향으로 공급량은 감소 추세를 보일 전망

- 무 수입량과 수출량은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되며, 국내 공급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할 것으로 보임

❍ 무 자급률은 2023년부터 2032년까지 100%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며, 1인당 공급량은 총공급량 감소에 따라 2023년 23.2kg에서 2032년 22.5kg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

◇ 가을무 10a당 수익성

❍ 2021년산 노지가을무 10a당 총수입은 2,478,377원으로 전년 대비 6% 증가

- 수량은 6% 감소하였으나 가격이 13% 상승하여 총수입이 증가함

❍ 10a당 경영비는 1,041,120원으로 전년 대비 7% 감소

- 유기질비료비, 대농구상각비 등이 증가하였으나, 종자비, 고용노동비, 수도광열비 등이 감소함

❍ 10a당 소득은 1,437,257원으로 전년 대비 17% 증가

- 총수입은 증가하고 경영비는 감소하여 소득이 증가함

❍ 2021년 가을무 10a당 생산비 중 투입요소 비중은 노동비(49.7%), 감가상각비(9.6%), 비료비(8.2%), 임차료(6.9%) 등 순이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