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(300)
화훼류 -주간농사정보 제50호(2023. 12. 11.~ 12. 17.) 화훼류 -주간농사정보 제50호(2023. 12. 11.~ 12. 17.) ​ 1. 거베라(동절기 환경 관리) ◇ 거베라 특성 ❍ 거베라는 화색이 다양하고 절화 감상 기간이 길어, 대형 화환이나 디자인 포인트 등으로 많이 이용 ❍ 거베라는 한번 심어서 3~4년간 계속해 재배 할 수 있는 작물임 ❍ 거베라의 생육 적온은 16∼25℃로 개화 습성은 중성식물로서 잎눈과 꽃눈이 혼재되어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같이 이루어지는 영양·생식생장형 작물로 지속적 환경을 유지한 수량 확보가 필요 ​ ◇ 환경관리 ❍ (보광관리) 거베라의 동계 보광 시 광량이 높을수록 절화 수량과 난방 효과 등이 증가하지만 설치비, 전기료 등의 손실 요소도 함께 증가하여 15μmol・m-2・s-1 정도의 광량이 가장 경제적임 - 적정 광량을 ..
밭작물 -주간농사정보 제50호(2023. 12. 11.~ 12. 17.)​ 밭작물 -주간농사정보 제50호(2023. 12. 11.~ 12. 17.) ​ 1. 보리·밀 ❍ 맥류는 습해에 약한 작물이므로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해야 함 - 습해를 받은 포장은 겨울을 나는 동안에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해지게 되어 동사하거나 말라 죽게 되므로 반드시 배수를 철저히 하여 서릿발 피해 및 습해를 막아주어야 함 - 논의 끝머리에 좌우로 배수로를 내고 배수로가 서로 연결되게 하여 배수구로 물이 잘 빠지도록 함 ❍ 서릿발 피해 예방을 위한 밟아주기(답압) 실시 - 서릿발이 생기면 지면이 솟구치면서 뿌리가 절단되고, 이후 저온, 건조, 강풍을 만나면 동해나 고사함 - 서릿발이 서기 쉬운 남부지방에서는 12월 상·중순경에 여러 번 밟아주어야 함(단, 과습한 토양 답압 시 토양이 단단해지므로 생육 부..
특용작물 -주간농사정보 제49호(2023. 12. 4.~ 12. 10.) 특용작물 -주간농사정보 제49호(2023. 12. 4.~ 12. 10.) ​ 1. 인삼 ◇ 포장 관리 ❍ 월동 전 배수로 정비로 적절한 토양수분 관리 - 겨울철 토양수분이 과다하면 이른 봄에 서릿발에 의해 뇌두가 손상되고, 이 부위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함 ❍ 본밭에서는 고랑 흙으로 두둑 위를 덮어 줌 - 복토를 하면 온ㆍ보습의 효과뿐만 아니라 조기 발뇌 피해와 염해 피해를 줄일 수 있음 * 겨울철 이상 고온이 지속되는 경우 투광율이 높은 차광지를 쓴 포장에서는 월동 전 조기 발뇌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흙덮기로 피해 예방 ​ ◇ 해가림 시설 관리 ❍ 표준 규격자재 사용과 표준 해가림 설치로 폭설 피해 예방 - 폭설피해가 잦은 지역에서는 전후주연결식을 이용하는 것이 피해를 줄일 수 있음..
화훼류 -주간농사정보 제49호(2023. 12. 4.~ 12. 10.) 화훼류 -주간농사정보 제49호(2023. 12. 4.~ 12. 10.) ​ 1. 심비디움(동절기 관리) ❍ 심비디움은 국내에서 제1의 양란으로 70년대에 도입되어 상업화가 이루어졌으며, 전체 분화 생산액의 약 30%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화훼 품목임 ❍ 심비디움은 1화경에 15개 정도의 꽃들이 착생하여 매우 아름답고 화려하며, 꽃의 감상 기간이 2개월 정도로 길며, 서늘한 곳에서도 비교적 잘 생육하는 상록성 다년초로 우리나라, 일본, 대만, 중국, 호주, 네델란드 등의 국가에서 분화 또는 절화로 유통 중 ❍ 심비디움은 묘 구입에서 출하까지 약 33개월~38개월으로 타 작목에 비해 생산기간이 길고 투자 비용도 높아 이를 감안하고 영농계획을 세우고 작물 재배해야 함 ❍ 심비디움의 화아형성기는 보통 6~10..
채소류 -주간농사정보 제49호(2023. 12. 4.~ 12. 10.)​ 채소류 -주간농사정보 제49호(2023. 12. 4.~ 12. 10.) ​ 1. 시설채소 ❍ (환경 관리) 일교차에 의한 시설 내 안개가 발생하지 않도록 측창과 천창 개폐에 신경을 써서 생육 저하 및 생리장해 현상을 방지해야 함 - 작물별로 적온 관리를 하되 야간 최저온도를 과채류는 12℃ 이상, 엽채류는 8℃이상 유지되도록 관리(채소류 한계온도 참고) * 흐린 날이나 습한 날은 관수량을 줄임. 관수용 물은 미리 받아 적정온도 유지 ❍ (병해충 방제) 조기 예찰 및 발생 초기에 방제를 철저히 함 - 환기로 적정 습도 유지, 병든 잎과 과실은 신속히 제거, 초기 적용약제 방제 - 해충 발견 시 3~5일 간격 3회 정도 성분이 다른 약제 교호살포 또는 천적 사용 ❍ (강풍대비) 고정끈을 튼튼히 매주고 강풍이..
과수류 -주간농사정보 제50호(2023. 12. 11.~ 12. 17.) 과수류 -주간농사정보 제50호(2023. 12. 11.~ 12. 17.) ​ 1. 과종별 동해 한계온도 및 지속시간 ❍ 저온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느냐에 따라 동해의 정도 차이가 있음 ❍ 저온으로 내려가는 속도가 빠를수록 동결 후 해빙 속도가 빠를수록 피해가 심함 ❍ 복숭아는 동해 한계온도 이하의 극저온이 2시간 이상 지속되면 매우 심각한 피해를 받음 ❍ 사과의 동해는 겨울 또는 이른 봄에 저온보다 따뜻한 후 급격한 저온에 의해 더 크게 나타남 ​ ​ 2. 겨울철 과원 관리 ❍ 수확을 마무리한 과원에서는 잎이 떨어진 후 밑거름 바로 시비 - 내년 2월 상·중순 뿌리 활동이 시작될 때 이용될 수 있도록 관리 * 밑거름은 살포한 지 2~3개월 후 뿌리 흡수 시작 ❍ 세력이 많이 약해진 과원에서는 잎이 떨어지기..
12월 장미재배 기술 정보 12월 장미재배 기술 정보 주요 병해 피해 증상과 방제대책 ​ ◇ 노균병 ▷ 피해 증상 및 원인 - 주로 완전히 전개된 잎에 발생하며, 병든 잎 표면은 불규칙한 수침상 (물기를 머금은 듯한 모양)을 형성하고 적자색 또는 연한 황갈색으로 변함 - 병든 잎 뒷면을 햇빛에 비춰보면 회백색의 곰팡이가 많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- 노균병에 걸린 잎은 쉽게 낙엽이 지고 줄기만 남게 됨 - 재배 중 노균병에 걸리면 잎뿐 아니라 줄기와 꽃받침에도 같은 병 무늬가 생김 - 병원균은 Peronopora sparsa로, 이는 곰팡이의 일종으로 편모균(鞭毛菌)에 속함 - 일반적으로 노균병은 시설재배에서 봄 또는 가을에 난방을 중지하거나 시작하기 직전에 많이 발생하며, 흰가루병보다 저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해서 주·야간..
12월 국화재배 기술 정보 12월 국화재배 기술 정보 ​ ◇ 광 ❍ 광원과 파장 - 화아분화 억제에 중요한 광원은 580~660나노메타(nm)의 적색광 부근이 효과적이며 백열등이나 적색 또는 백색 형광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형광등은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백열등을 많이 이용하고 있음 - 전등 종류로서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백열등 외에도 주황색, 순황색, 적색 형광등의 성능이 우수함 ❍ 광 중단 - 개화 억제를 위한 장일 처리 방법으로는 주로 심야 조명을 많이 이용하고 있음 - 국화는 단일성 식물이지만 실제로 일장 반응을 하는 것은 낮의 길이가 아닌 밤의 길이에 반응하여 화아분화 하게 됨 - 국화가 단일성 식물이라고 하는 것은 바꿔 말하면 장야성(長夜性) 식물이라고 할 수 있음 · 실용적인 면에서도 일..
단단한 여름딸기가 주렁주렁…‘심스팜’ 심종태 대표 단단한 여름딸기가 주렁주렁…‘심스팜’ 심종태 대표 ◈ 국내선 흔치 않은 ‘여름딸기’ 재배 ▶ 드넓게 펼쳐진 밭에 감자와 당근이 재배되고 있고, 언덕 너머 온실에서는 딸기가 자라는 이 곳. 강원도 평창군에 있는 약 2만3,000㎡ 규모의 딸기농장 심스팜입니다. 이곳에서 심종태 대표가 22년째 재배하고 있는 작물은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여름딸기입니다. ▶ 원래 여름과 가을철에는 딸기가 생산되지 않았지만, 재배기술이 발달하면서 지금은 사시사철 딸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됐습니다. 겨울딸기는 해마다 전국에서 20만톤 생산되는 것과 달리, 여름딸기 생산량은 500톤에 불과할 정도로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귀한 만큼 가격은 겨울딸기보다 30~50% 더 받을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. ▶ 딸기 수요가 제과업체와..
딸기 탄저병 증상 및 방제 딸기 탄저병 증상 및 방제 ◈ 탄저병 증상 : 러너나 잎, 잎자루 등에 흑갈색의 반점이 형성되고 다습하면 병반이 확대 부패되는 반점형과, 육묘포 혹은 본포에서 포기 전체가 생기 없이 시드는 위조형이 있음 ▶ 딸기 탄저병은 어미그루를 심은 모판이나 한때 심은 모판과 같이 육묘포장에서 주로 발생하나 이미 감염된 모종을 심었을 경우에는 본밭에서도 발생하여 피해를 준다. ▶ 어미그루를 심은 모판에서는 6월상순 부터 병이 발생하고, 한때심은 모판에서 는 8월 중·하순경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, 본밭에서는 아주심은 후와 보온을 시작한 다음 온·습도가 높아지면서 발생한다. ▶ 병무늬는 런너와 잎, 잎자루에 형성되기 쉽다. 런너에 병이 걸린 경우는 처음 에 방추형으로 움푹 들어가 흑갈색의 병무늬를 형성하며, 더욱 진행되..